새소식   News

  • 언론기사
  • 보도자료
  • 공지사항

언론기사

프린트 홈으로 새소식 언론기사
제목 최보식이 만난 사람들 - 모든 세상이 나로 더불어 한 집이요, 나로 더불어 한 몸인데...
언론사 조선일보 (보도일 : 2009.04.27 / 조회 : 4582)
파일 20090427th.jpg  

 

"모든 세상이 나로 더불어 한 집이요,

나로 더불어 한 몸인데..."

 

[최보식이 만난 사람들] 당대의 禪僧 진제스님(동화사, 해운정사 조실)

 

 

 

 

 

▶몸뚱이란 숨 한번 들이쉬지 못할 때 주인공이 딱 나가버리면, 사흘 이내에 썩어 화장하고 묻어버려요. 뼈와 살은 흙으로, 대소변은 물로, 호흡은 바람으로, 따뜻한 기운은 불로 돌아갑니다. 본고향으로 돌아가면 아무것도 없거든. 하지만 주인공인 '참나'는 우주가 생기기 전에도 있었고, 우주가 멸(滅)한 후에도 항시 여여(如如)하게 있습니다. 이를 바로 보아야, 진리의 도가 그 가운데 다 있습니다.

 

절 뜰 위로 연등(燃燈)들이 둥둥 떴다. 바닷바람이 부는 부산 해운정사에서 한 시간째 양반다리로 앉아 있는 중이었다.

진제(眞際) 스님(동화사·해운정사 조실)은 "하하하" 웃었으나, 나는 참호 속에 갇혀 악전고투하는 기분이었다. 불교계에서 '남 진제 북 송담(인천 용화선원의 송담스님)'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그는 당대 최고의 선승(禪僧)이다. 내게 익숙한 분석과 논리의 말을 선(禪)은 우습게 본다.

 

―깨달음이란 '참나'를 보는 것입니까?

▶그 가운데 모든 진리가 다 있습니다. 이 몸뚱이는 썩어 없어지니 '참나'가 아니다. 이 몸 부모에게 받기 전 어떤 것이 '참나'던고? 석가모니 부처님도 이를 아셔가지고 위대한 진리의 스승이 되었고, 모든 스님네도 이를 알아가지고 도인이 됐지요.


 

남보다 더 구하려는 욕망에서 무한한 고통이 다투어 일어나

 

―설령 '참나'를 찾은들 우리 인생에서 무엇이 달라지겠습니까?

▶'나'라는 허세, 시기, 질투, 욕망, 공포, 불안 등에 찌들어 정신없이 생을 살다가 죽는 게 중생이거든. 어리석은 마음에서 온갖 것을 다 자기 것으로 이루고 삼으려고 하니, 아무리 명문대학을 나오고, 대통령·장관을 지내도 번뇌와 갈등은 제거할 수가 없어요. '참나'를 알게 되면 이런 중생의 용심(用心: 마음 씀)이 없어집니다. 모든 세상이 나로 더불어 한 집이요, 나로 더불어 한 몸인데, 내가 더 가질 필요가 없단 말이거든. 다같이 한 몸뚱이인데.


―그렇다면 큰스님의 '참나'는 무엇입니까?

▶하하하. 차(茶) 한 잔 들어보세요.

 

이 무슨 말씀인가. 나는 찻잔을 들고서 "지금 육신이 없어지면 저 자신도 소멸되니, 저의 '참나'는 오직 여기 앉아 있는 이 모습입니다"라고 말했다. 일상의 어법으로 끌어오려고 했지만, 그는 "하하하" 웃었다.


▶그래, 맛을 잘 보았소?


―신문으로 예를 들겠습니다. 독자가 이해를 못 하는 기사는 그 기사를 쓴 기자도 사실 잘 모르고 쓴 경우가 많습니다. 간혹 높으신 스님들의 말씀을 듣고 나면 그 모호함이 이와 같습니다.

▶진리의 세계란 말로써 다 전할 수 없으니…. 내가 그걸 잡아줘도 모르거든.


―다시 질문을 드립니다만, '참나'의 정체가 뭡니까?

▶'참나'의 정체라? 하하하. 해운대 앞바다 물을 한 입에 다 마셔 올 것 같으면 그대를 향해 일러주리라. '참나'는 심안(心眼)이 열려야 보게 됩니다.


그는 스무살 때 출가했다. 오촌 당숙을 따라 동네에서 십리쯤 떨어진 절에 불공을 드리러 갔다가 석우(石友) 선사(조계종 종정 역임)를 만났다. 친견하는 자리에서 "이 세상에 안 나온 셈치고 도를 한번 닦아보는 게 어떻겠는가?"하고 묻더라는 것이다.

"도를 닦으면 어떻게 됩니까?"

"범부(凡夫)가 위대한 부처가 되네."

그 한마디 말에 감화돼 "위대한 부처가 되는 법이 있다는데 중놀이를 해도 되겠습니까?" 하고 부모와 상의한 뒤 행장을 꾸렸다고 한다.


―큰스님께서는 어떤 욕망에 휩싸여본 적이 없습니까?

▶나는 '참선해서 도를 뚫어야겠다, 알아야겠다,' 거기에 심취가 돼서 중놀이를 했습니다. 스물여섯살 때 그동안 공부한 것을 점검받겠다고 팔공산의 파계사로 성철(性徹) 선사에게 가니 "나는 몰라, 나는 몰라"하며 응대를 안 해요.

그래서 쌍벽을 이루던 향곡(香谷) 선사를 찾아갔어요. 대뜸 "일러도 삼십 방이요, 이르지 못해도 삼십 방이다"라고 했습니다. 진리의 바른 답을 해도 삼십 방 맞고, 못해도 삼십 방을 맞는다는 거지요. 이에 우물쭈물하니 "그것도 척 못 나오면서 뭘 알았다고 하느냐?"며 쫓았습니다.

그 뒤 눈 덮인 오대산에 들어가 공부하는데, '일생을 이렇게 허송세월할 수 없다'는 생각에 다시 향곡 선사를 찾아갔다고 한다.

"화두를 하나 내려주십시오. 화두를 타파하기 전까지는 산문(山門)을 나가지 않겠습니다. 생사를 떼어놓고 한번 해보겠습니다."

그러자 이런 화두를 내렸다.

"중국의 향엄 선사께서 법문하시기를 높은 나무 위에 입으로 매달려 있을 때 밑에 지나가는 이가 '달마 스님이 서역에서 중국으로 오신 까닭이 무엇인고?' 물으면 어떻게 답을 하려는고?"

그가 2년5개월 걸려 이 '향엄상수화(香嚴上樹話)' 화두를 해결하자, 다른 화두가 주어져 또 5년을 씨름했다.


―그렇게 해서 속세 나이 서른셋에 도를 깨쳤다고 들었습니다.

▶여름 해제일에 대중을 위해서 향곡 선사께서 법상(法床)에 오르셨어요. 제가 예를 올리고 "모든 부처님과 모든 성인이 알지 못하는 심오한 일구(一句)를 일러주십시오"라고 말씀드렸습니다.

"99는 81이니라." "이는 모든 부처님과 모든 성인이 다 아신 답입니다." "그러면 66은 36이니라."

제가 가타부타 말을 안 하고 큰절을 하고 나와버렸어요. 그러자 선사께서 "오늘 법문은 이걸로 끝"이라며 일어섰어요.


―이게 다 무슨 뜻입니까?

▶일상생활이 그대로 진리의 도입니다. 목마르면 차 마시고, 배고프면 밥 먹고….


―한번 도(道)를 깨치게 되면 그걸로 평생을 갑니까? 흔들림이 없습니까?

▶허공은 사시사철 허공이지 어디 변합니까? 태풍이 아무리 불고 풍우가 쳐도 그 위에 허공은 항시 맑아 있듯이 그렇게 됩니다. 그러니 금생(今生)뿐만 아니라 세세생생(世世生生) 가지요. 나고 날 적마다 가지요.


―깨닫고 나서 보니까 '세상이 별거 아니구나, 삶도 별거 아니구나' 하는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까?

▶아니. 세상 온 천지가 진리의 꽃이구나. 하하하, 진리를 찾아서 몇 생을, 몇 년을 헤맸는데, 바로 목전(目前)에 다 진리가 아님이 없구나. 그런데 이것은 아는 자만이 알지 다 모릅니다.


―큰스님은 진리를 보고 계시니 홀로 즐길 수 있지만, 일반 중생들은 처자식을 먹여 살린다는 이유로 혹은 다른 이유로 그런 낙을 누리질 못합니다.

▶이는 우리가 지은 과보(果報)로 받는 것입니다. 중생들은 출세를 해야지, 돈을 많이 벌어야지, 호화로운 생활을 해야지, 남보다 더 구하려는 욕망에서 무한한 고통이 머리를 다투고 일어납니다. 출가하라는 말이 아닙니다. 세상에 살아도 좋은 인연을 좇아서 좋은 설교를 듣고, 미덕을 베풀고, 하루하루 수행하는 거기에, 삶이 윤택해지고 마음의 번뇌가 없어집니다.


―하지만 절집을 먹여 살리는 것은 그렇게 아등바등 경쟁하고 용심을 내는 중생들이 아니겠습니까?

▶그렇지요, 하하하. 그 대가로 바른 용심과 바른 행동, 복이 되고 덕이 되는 지혜와 법을 가르쳐 보시를 하지 않습니까?


 

대인(大人)은 취사(取捨)가 없어야 한다고 이명박 후보에게 말해


―바깥세상 돌아가는 것에도 관심 있게 지켜보십니까?

▶성속(聖俗)이 둘이 아니고, 어디에 있든 마음을 깨달으면 곧 부처입니다. 나는 참의심을 갖고 나를 찾아오는 사람을 막지 않습니다. 일체중생을 제도하는 것이 깨달은 자의 본분입니다.


―정치권에는 똑똑한 사람들이 다 모였는데, 왜 늘 우리를 실망시킬까요?

▶지난 대선 때 이명박 후보가 오셨을 때 "대인(大人)은 취사(取捨: 취하고 버림)가 없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같은 당 안에서도 박근혜측과 대립하고 있습니다. 여야는 원수가 서로 만난 듯 반대에 반대를 합니다. 너니, 나니 하는 허상(人我相)에 매인 이런 소인배들은 방망이(棒)로 때려서라도 깨우쳐야 합니다.


―그런데 종교인들조차 명성이나 권력, 사적 이해에 집착하는 이들이 적지 않습니다.

▶속심(俗心)이 그대로 차 있어서 그래요. 먹물옷을 입었다고 다 중이 아닙니다. 바른 신앙을 가져야지 허깨비 신앙은 아무 쓸모가 없습니다. 응당 서릿발같이 계율을 지키고 내실 있는 수행이 근본이 되어야 합니다.


―삶의 궁극점은 죽음이고 누구도 피할 수 없는 것입니다. 죽음의 문제에 대해 어떤 답을 찾을 수 있을까요?

▶도를 알면 죽음은 '환화(幻花)'입니다. 허공 꽃, 눈을 때리면 번쩍하고 허공 꽃이 많이 생기지 않습니까? 그게 실제 있는 게 아니거든. 일시적으로 눈병으로 인해서 헛것이 보이는 거지요.


―원래 산 것도 아니니 죽은 것도 아니라는 뜻 같은데, 그러면 왜 큰스님이 열반할 때 제자들은 그렇게 슬퍼합니까?

▶그것은 중생의 틀을 못 벗어서 그렇지, 하하하. 두려워하는 것은 도를 몰라서 그래요. 도를 모르니까.


―지금도 새벽 2시 반에 기상한다고 들었습니다.

▶9시 반에 자고 새벽 2시 반에 일어납니다. 새벽 3시에 예불을 모시니까, 어른의 일거일동에 다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내가 시집살이를 해야 대중들이 따라오거든. 하하하.


 

'부처님 오신 날'에 꽃구경하는 마음 갖기를


―이번 주말 '부처님 오신 날'을 위해 중생들에게 한 말씀 해주십시오.

▶백화쟁발위수개(百花爭發爲誰開) 자고제처백화향(   啼處百花香)이라. 숱한 꽃들이 피는 것은 누구를 위함인가, 자고새 우는 곳에 온통 꽃들의 향기네. 부처님 오신 날에 꽃들을 구경하는, 그 아름다운 마음을 가지십시오.


 

이날 승용차로 5시간 반 걸려 스님을 만난 뒤 다시 5시간 반 걸려 상경했다. 긴 하루였다.


 

경허·혜월·운봉·향곡 선사로 전해온 정통법맥 이어

 

진제 스님은 1934년 경남 남해에서 출생했다. 농사를 지었고 서당에서 한문 공부를 했다고 한다. 1954년 해인사에서 석우 선사를 은사로 출가했다. 1967년 향곡 선사로부터 법을 인가받았다.

당시 스승 향곡 선사와 이런 선문답이 오갔다. "부처의 눈과 지혜의 눈(慧眼)은 묻지 아니하거니와 납승(衲僧: 도를 깨친 승려)의 눈은 어떤 것입니까?(최고의 깨달음에 이른 향곡 선사의 경지를 질문한 것)"

"사고원래여인주(師姑元來女人做)니라.(나이 많은 비구니도 원래 여자다)"

"금일에야 선사를 바로 봤습니다."

"네가 어느 곳에서 나를 봤느냐?(십년 동안 같은 절에서 살았지만 '네가 어디서 나를 봤다는 거냐?'는 되물음)"

"관(關: 선사가 못 빠져나가도록 구속했기 때문)!"

"옳고, 옳다."

그는 경허-혜월-운봉-향곡 선사로 전해 내려온 정통법맥을 잇고 있다. 현재 해운정사와 팔공산 동화사, 조계종 기본선원의 조실(최고 어른)이다.

 


최보식 선임기자 congchi@chosun.com

<<기사원문보기>>

 

 

 

이전글 풍요의 흥망성쇠는 늘 반복되는 것
다음글 지금 무슨 짓을 하고 있는가
리스트

146  목숨 걸고 정진하면 2~3년내 견성한다

종정예하 성담사에 선원 개원올 동안거 시작해 1년간 결제하루 13시간 정진, 잠도 함께재가자 외국인 참선명상센터도빠른 불사, 4월께 대웅전 낙성진제 종정예하가 2월18일 한국...
언론사 : 불교신문  보도일 : 2020/02/26   조회 : 3708
145  참나 알고 하루 사는 게 더 보람 있다

      자기를 모르고 천년 사는 게 낫겠는가…‘참나’ 알고 하루 사는 게 더 보람 있다 진제 종정예하 특별인터뷰   &nbs...
언론사 : 불교신문  보도일 : 2017/03/22   조회 : 6305
144  조계종 종정 진제 스님 하안거 법어 “자기의 참모습 밝히는 일에 몰두하자”

대한불교 조계종 종정 진제 스님(사진)은 하안거를 앞둔 27일 “부처님께서 사바에 출세하신 뜻을 좇아 참나를 밝히는 일에 몰두하자”는 법어를 발표했다.  &n...
언론사 : 경향신문  보도일 : 2015/05/27   조회 : 32767
143  불교계, 평화 기원 ‘세계 간화선 무차대회’

 ㆍ“땅과 마음이 함께하는 진정한 통일 위해 서로 다름 인정하며 나만 옳음 내려놔야” ‘탁,...
언론사 : 경향신문  보도일 : 2015/05/17   조회 : 5454
142  “선사(禪師) 친견 후 비로소 진정한 불교 만났다”

“선사(禪師) 친견 후 비로소 진정한 불교 만났다” 기고 / 세계종교지도자들은 왜 종정예하를 찬탄하나 데...
언론사 : 불교신문  보도일 : 2015/05/16   조회 : 10012
141  종정예하 동안거해제 법어 "정신차리고 화두 참구해야"

진제 스님 동안거해제 법어 "정신차리고 화두 참구해야"   (서울=연합뉴스) 황희경 기자 = 조계종 종정 진제 큰스님은 5일 불교의 겨울 집중수행 ...
언론사 : 연합뉴스  보도일 : 2015/03/04   조회 : 3956
140  조계종 종정, 동국대에 친필 휘호 하사

조계종 종정, 동국대에 친필 휘호 하사13일 정각원장 법타 스님 통해…건학 108주년 ‘불광동대 보조발원’   ▲ 진제 스님은 9월1...
언론사 : 법보신문  보도일 : 2014/09/18   조회 : 4289
139  종정예하 진제대종사 전법게 및 등등상속 문화재 지정 추진

 조계종단의 최고 어른이시며 부처님의 79대 법손이신 진제법원 종정예하께서 스승이신 향곡 대선사께 받은 전법게와 등등상속 등이 문화재로 지정되게 되었습니다. &nbs...
언론사 : BBS  보도일 : 2014/07/26   조회 : 5889
138  진제대선사, 한국 간화선 세계화 이끌다

 공식적인 기록에 따르면 불교가 처음 한국으로 전래된 것은 고구려 소수림왕 2년인 372년으로 전진의 왕 부견이 사신과 승려 순도(順道)를 보내어 불상과 불경...
언론사 : 시사매거진  보도일 : 2014/02/10   조회 : 6950
137  불기 2557년 부처님오신날 봉축행사

  <앵커 멘트>불기 2557년 부처님 오신 날을 맞아, 서울 조계사를 비롯한 전국 사찰에서는 봉축 법요식과 함께, 다양한 경축 행사가 이...
언론사 : KBS  보도일 : 2013/05/17   조회 : 6197
       1    2    3    4    5    6    7    8    9    10